본문 바로가기
경영혁신 사례

삼성전자 가치사슬분석과 핵심역량

by 티모리뷰 2023. 5. 31.

1. 삼성전자의 가치사슬 분석

삼성전자의 가치사슬의 주요 활동은 ‘구매-생산-물류-마케팅과 판매-서비스’로 나눌 수 있다. 이 중에서 삼성전자는 높은 기술력을 가진 사업부와 계열사를 통한 수직계열화로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갤럭시 6을 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주요 부품인 메인 칩은 System LSI 사업부에서 설계/개발/생산하고 있으며, 메모리는 메모리 사업부, 카메라는 삼성전기, 커브드 액정화면은 삼성디스플레이, 배터리는 삼성 SDI 등에서 생산하고 있어서 혁신적인 제품기술 적용할 때 안정적으로 필요한 만큼의 물량을 공급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삼성의 SCM은 경영정보 시스템과 물리적 공급 체인을 조합하고, 파트너와의 강력한 신뢰를 구축하여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 주요 활동 이외에도 이러한 활동을 지원하는 지원활동들도 있다. 창의력과 업무효율성을 높이도록 설계된 기업하부구조가 있다. 대학 캠퍼스와 같은 수원 사업장과 기흥 사업장 조성한다. 장기적인 R&D 투자로 혁신적인 기술 개발과 디자인, 선진화되고 있는 인사관리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자유출퇴근제 도입 및 GWP활동이 그것이다. 이러한 지원활동에 속한다.

 

2. 애플의 가치사슬 분석

애플의 가치사슬은 기업 핵심인 R&D, 마케팅과 판매에 집중하고, 핵심이 아닌 생산 부분은 아웃소싱을 통한다는 특징이 있다. R&D와 디자인에서는 뛰어난 사업 기획력과 S/W기술력을 바탕으로 iTunes나 iCloud 등을 통해 우수한 고객경험을 제공하고 있으며, 미려한 디자인을 통해 고객에게 사랑받는 제품을 만들고 있다. 또한 차별화된 광고와 다양한 모바일 제품을 직접 경험해 보고 구매할 수 있는 오프라인 매장이 있다. 반면에 애플 제품의 생산은 대만의 생산 전문업체인 팍스콘(Foxconn)을 통해서 하고 있다. 단, 애플은 일부 생산 설비에 대해서는 임대형식으로 팍스콘에 대여하여 애플이 원하는 수준의 제품을 만들 수 있도록 품질 관리를 하고 있다.

 

 

3. 삼성전자의 핵심역량

삼성전자는 경쟁사 대비 아래와 같이 4가지의 핵심 역량을 가지고 있다.

1) 높은 브랜드 이미지

삼성전자의 브랜드는 인터브랜드가 조사한 ‘2014년 베스트 글로벌 브랜드’에서 7번째 순위를 달성한 회사이다. 이러한 높은 브랜드 이미지는 다른 경쟁사 제품들과 차별화를 확보할 수 있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왜냐면 소비자들은 높은 브랜드 가치를 가진 제품에 신뢰와 충성도를 가지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좋은 브랜드는 새로운 사업 영역 확장을 용이하게 해 준다. 기존에 잘 구축된 브랜드 이미지는 신규 제품 도입에 활용할 때 보다 효율적으로 소비자들에게 파고들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가 갤럭시 와치를 만들었을 때 언론과 소비자들이 관심을 가지는 이유도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2) 다양한 포트폴리오 구축

삼성전자는 화면 크기와 제품 성능에 따른 제품 라인업을 다양하게 가지고 있고 이들을 생산해낼 수 있는 기술과 시설도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고객이 원하는 제품을 하이엔드급부터 보급형까지 단시간에 제공할 수 있는 강점이 있다.

3) 자체 부품 공급 능력

대부분의 휴대폰 제조사들은 다양한 공급처에 부품을 구매하지만 삼성은 메인 칩에서부터 디스플레이까지 모든 것을 보유하고 있어서 자사의 생산 능력을 주요 제품을 생산해 낸다. HIS의 빈센트 륭 애널리스트는 “삼성의 강점은 부품을 인소싱(in-sourcing)할 수 있는 능력”이라면서 “삼성은 스스로 공급할 수 있는 차별화된 부품 리스트를 계속해서 확대해나가고 있다”라고 분석하였다. 또한 애플이나 ZTE, 모토로라, 노키아 등 전 세계 모바일 기기 제조업체 가운데 자체 부품조달 비중이 삼성처럼 높은 기업은 없다. 이런 자체 부품 공급 능력은 삼성 스마트폰을 다른 기업의 제품들과 차별화하는데 도움이 된다. 경쟁 업체들이 부품 부족 때문에 생산에 어려움을 겪을 때도 삼성전자는 이러한 제품 부족 문제를 대처할 수 있다는 장점도 가진다.

4) 전세계 유통채널 구축

삼성전자는 한국을 비롯해 북미, 구주, 동남아, 유럽, 아프리카 등 모두 15개 지역별 총괄체제를 운영하면서 전 세계 현지화된 유통채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 4대 가전제품 유통채널 확보하고 있으며, 차이나텔레콤, 차이나모바일, 차이나유니콤 등과 전폭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보급형 스마트폰인 갤럭시 에이스와 프리미엄 제품인 갤럭시 S3를 잇따라 출시해 중국 소비자들의 수요를 이끌어 내기도 했다. 이러한 전 세계 유통채널 보유를 통해 세계 각국의 통신사들이 각기 원하는 다양한 사양의 제품을 적기에 공급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서 통신사와 협력관계를 강화할 수 있고 이는 해당 국가 시장의 점유율 상승 시키는 효과가 있다.